최근본상품 0

    prev
    /
    next

    추천상품 0

      prev
      /
      next

      장바구니 0

        prev
        /
        next

        위시리스트 0

          prev
          /
          next

          북마크
          top
          페이스북 트위터 
          지난 10년 동안 마취제에서도 sevoflurane과 desflurane과 같은 할로겐화 화합물과 propofol과 같은 정맥마취제, remifentanil을 비롯한 새로운 아편유사제의 소개와 함께 균형마취(balanced anesthesia)의 기본이 되는 근이완을 위한 신경근 차단제도 종래의 탈분극성 근이?
          김성열 교수의 임상마취를 위한 신경근 약리학
          판매가 50,000
          무이자할부
          무이자할부 카드안내 X
          3~12개월 5만원이상
          3~12개월 5만원이상
          3~12개월 5만원이상
          3~12개월 5만원이상
          3~12개월 5만원이상
          3~12개월 5만원이상
          3~12개월 5만원이상
          3~12개월 5만원이상
          적립금 2,500원
          배송 택배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고객평가 0건  ★★★★★ 0/5
          출판사 여문각
          저자 대한신경근연구회
          출판년도 2011년11월3일
          ISBN 978-89-85176-71-2
          판형 420page
          수량
          총 상품금액 50,000

          팁 타이틀

          + 여러상품을 구매하실 경우 장바구니를 이용하시면 묶음배송됩니다.
          + 본 사이트의 이미지와 컨텐츠의 불법사용을 금합니다.

          상품상세설명상품상세정보 / 관련상품목록 / 상품구매후기 / 상품Q&A

          책소개

          지난 10년 동안 마취제에서도 sevoflurane과 desflurane과 같은 할로겐화 화합물과 propofol과 같은 정맥마취제, remifentanil을 비롯한 새로운 아편유사제의 소개와 함께 균형마취(balanced anesthesia)의 기본이 되는 근이완을 위한 신경근 차단제도 종래의 탈분극성 근이완제인 succinylcholine과 비탈분극성 근이완제 pancuronium, vecuronium과 atracurium에서 rocuronium과 mivacurium 및 cisatracurium으로 전환되었습니다. 근이완제의 길항제도 atropine 또는 glycopyrrolate와 같은 anticholinergics를 함께 투여하여야 하는 anticholinesterase인 neostigmine과 pyridostigmine을 사용하고 있으나 cyclodextrin계의 sugammadex가 소개되면서 점차 근이완제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이 바뀌게 되었다. 이와 같은 빠른 변화를 효과적으로 임상에 적용하여 더욱 나은 마취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종합하고 정리하기 위하여 대한 신경근연구회에서는 여러분의 힘을 모아 김성열 교수님의 저서 “임상마취를 위한 신경근 약리학”을 기초로 하여 본서를 만들어 보다 더 앞선 지식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부디 본서가 신경근 약리와 임상마취에서 신경근 약리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뿐만 아니라 많은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목차

          제1장 근이완제의 역사적 유래
          서론 13
          화살독이란? 14
          근이완제 원료의 발견 15
          쿠라레 작용 기전의 규명 16
          쿠라레의 임상 활용 17
          근이완제의 합성 23
          한국에서의 근이완제 24
          임상마취에서 근이제의 전망 30
          ■ 참고문헌 32

          제2장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근이완 작용물질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독소 33
          1. Chondrodendron 알칼로이드 34
          2. Strychnos 알칼로이드 35
          3. Erythrina 알칼로이드 36
          4. Camellia Sinensis(녹차) 36
          5. 바나나종류(Musa species, Banana plant) 37
          6. 맥아뿌리(Malt rootlet) 37
          7. 콜린에스터라제(Cholinesterase) 억제작용을 하는 식물들 37
          8. 기타 39
          동물에서 얻을 수 있는 독소 39
          1. 뱀의 독소 40
          2. 거미 독소(Spider venoms) 45
          3. 원형 지렁이 독소 46
          4. 전갈 독소 46
          5. 벌 독소(Hymenotera venoms) 47
          6. 진드기 마비증(Tick paralysis, Tick toxicosis)49
          7. 양서류의 독소 50
          8. 조류 독소 51
          세균의 독소 51
          1. Clostridium 독소 51
          바다 생물의 독소 55
          1. 산호충 및 기타 강장동물 55
          2. 복어독(Tetrodotoxin, TTX) 55
          3. 해파리와 말미잘 56
          4. Cone toxin(Conotoxin) 58
          기타 61
          ■ 참고문헌 61


          제3장 신경근전달 기전
          골격근 수축기전 73
          1. 골격근의 구성 73
          2. 신경근전달기전 84
          3. 신경근차단기전 87
          ■ 참고문헌 91


          제4장 신경근차단제의 약동학과 약역학 약동학 98
          1. 약동학 모형 98
          2. 중요한 약동학 모수들 103
          약역학 104
          1. 기본 약역학모형 105
          약동학-약역학연결모형 107
          1. 정의(definition) 109
          2. 모수적 연결모형(모수적 동시모형) 109
          3. 비모수적 연결모형 114
          요약 116

          ■ 참고문헌 116


          제5장 탈분극성근이완제의 임상 사용:석시닐콜린의 사용
          역사적 배경 121
          물리 화학적 성질 121
          약물동력학과 약력학 122
          1. 분해 대사 122
          2. Dibucaine 수와 콜린에스터라제의 활성도 122
          Dibucaine 수와 비정상 콜린에스터라제의 작용 123
          부작용 124
          1. 심혈관계 부작용 124
          2. 고칼륨혈증 125
          3. 안압 상승 125
          4. 위내압 상승 125
          5. 두개내압 증가 126
          6. 근육통 126
          7. 저작근강직(masseter spasm) 126
          임상 사용 126
          항콜린에스터라제와의 상호 작용 128
          ■ 참고문헌 128


          제6장 비탈분극성 근이완제의 임상 사용
          서론 131
          구조 활성도 관계 131
          1. 벤질이소퀴놀리니움 복합체 133
          2. 스테로이드계통 근이완제 135
          3. Asymmetric Mixed-Onium Chlorofumarates 136
          발현시간과 충진원리 137
          1. 역가와 발현시간 137
          2. 충진원리 137
          비탈분극성근이완제 종류 139
          1. 쿠라레 알칼로이드 139
          2. 벤질이소퀴놀리니움 유도체 144
          3. 아미노스테로이드 유도체 149
          4. 새로운 근이완제 156
          5. 기타 근이완제 158
          ■ 참고문헌 164


          제7장 신경근전달 감시장치
          서론 171
          신경자극의 원리 171
          1. 가해지는 전류량 171
          2. 전류가 가해지는 지속 시간 173
          3. 전극 173
          4. 주로 사용되는 말초신경 173
          5. 각 근육간의 근이완반응 차이 174
          신경자극형태 176
          1. 단일연축자극(Single twitch stimulation) 176
          2. 사연속자극(Train-of-four stimulation, TOF) 176
          3. 강직자극(Tetanic stimulation) 178
          4. 강직후연축반응수(Post-tetanic count stimulation, PTC) 180
          5. DBS 자극(Double burst stimulation) 181
          근수축 유발 반응의 측정 182
          1. 근육운동기록법(Mechanomyography, MMG) 182
          2.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EMG) 182
          3. 근가속검사(Acceleromyography, AMG) 183
          4. 압전효과를 이용하는 방법(Piezoelectric neuromuscular monitoring) 184
          5. 근육음기록법(Phonomyography) 184
          6. 측정 장치가 없는 감지법(시각, 촉각) 185
          측정된 반응의 평가 185
          1. 비탈분극성근이완 작용 185
          2. 탈분극성근이완 작용 186
          임상 적용 186
          1. 환자준비 186
          2. 마취유도 중 186
          3. 수술 중 187
          4. 회복 중 188
          5. 회복실에서 188
          6. 중환자실 188
          ■ 참고문헌 189


          제8장 근이완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 및 약물 상호작용
          A. 근이완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 193
          서론 193
          근이완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질병 193
          1.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193
          2. 근긴장성 증후군(Myotonic syndrome) 194
          3. 근육 손상 194
          4. 근위축증 194
          5. 악성고열증(Malignant hyperthermia) 194
          6. 신장장애 195
          7. 간질환 197
          8. 화상 198
          9. 신경질환 198
          분야별 마취 및 수술조작 그리고 의인성 요소 199
          1. 산과마취 199
          2. 뇌신경마취 199
          3. 심혈관마취 200
          생리적 요소 200
          1. 연령 200
          2. 비만 200
          3. 산염기평형(pH 변화) 200
          4. 체온 201
          5. 혈액 용적 변화 202
          B. 약물 상호작용 203
          서론 203
          마취제 203
          1. 흡입마취제 203
          2. 국소마취제 204
          3. 정맥마취제 204
          항생제 205
          1. 아미노글리코사이드 206
          2. Polymyxin과 colistin 206
          3. Lincosamine 206
          4. Penicillin, Cephalosporin 및 Erythromycin 206
          5. Metronidazole 206
          6. Tetracycline 206
          심혈관계 약제 206
          1. β-Adrenaline 차단제 206
          2. 칼슘이온통로차단제 207
          3. 신경절차단제 207
          4. 항부정맥제 207
          5. 항고혈압제 207
          향정신성 약제 208
          혈장콜린에스터라제의 결여 208
          1. 선천성 요소 208
          2. 후천성 요소 209
          항콜린에스터라제 209
          전해질 209
          1. 칼슘 209
          2. 마그네슘 209
          3. 칼륨 210
          4. Lithium 210
          아편양 진통제(Opioid analgesics) 210
          이뇨제 210
          항경련제 211
          면역억제제 211
          Phosphodiesterase 억제제 211
          기타 약제 211
          1. Aprotinin 211
          2. Penicillamine 211
          3. Dantrolene 211
          4. Cyclo-oxygenase inhibitor 211
          5. Echothiophate 211
          6. H2 수용체차단제 211
          근이완제 212
          1. NDMR간의 상호작용 212
          2. 비탈분극성과 탈분극성근이완제 간의 상호작용 213
          3. 투여 방법에 따라 나타나는 상호작용 213
          ■ 참고문헌 215


          제9장 근이완제에 대한 길항작용
          역사적인 배경 229
          항콜린에스터라제의 분류 229
          1. 하나의 4가 암모니움군을 가진 단순 알코올 230
          2. 3가 및 4가 암모니움군을 가진 알코올로서 carbamic acid ester 230
          3. 아미노피리딘(4-aminopyridine, 4-AP) 230
          4. Phosphoric ester의 유기성 유도체 230
          화학구조적 성질 230
          길항작용 기전 231
          1. 신경근접합부에서의 작용 231
          2. 자율신경절 접합부 (Autonomic ganglionic synapses) 233
          3. 중추신경 233
          약동학 233
          길항제의 약리학 235
          1. 네오스티그민 235
          2. 피리도스티그민 236
          3. 에드로포니움 236
          4. Physostigmine 238
          5. 4-아미노피리딘(4-AP) 238
          6. Galanthamine 238
          7. 기타 239
          작용 부위에 따르는 증상 240
          1. 심혈관계 증상 240
          2. 소화기계 증상 240
          3. 안과계 증상 240
          4. 비뇨기계 증상 240
          5. 분비선 작용 240
          6. 심폐계 증상 240
          7. 신경근장애 증상 241
          길항에 미치는 요소 241
          1. 산염기 및 전해질 불균형 241
          2. 약물 상호작용 241
          3. 연령 241
          4. 약동학적 요소 242
          5. 자연 회복의 정도 242
          길항시기 243
          길항제의 사전예비정주법(priming principle) 243
          근이완제 종류에 따른 길항 244
          1. 탈분근성 근이완에 대한 길항 244
          2. 비탈분극성근이완에 대한 길항 245
          길항효과를 평가하는 필요조건 246
          1. 임상증상 247
          2. 말초신경자극에 대한 반응의 촉지 판단 247
          3. 신경근감시장치에서의 기준 247
          새로운 길항제들 248
          1. 슈가마덱스(ORG 25969) 248
          2. 시스테인 252
          ■ 참고문헌 254


          제10장 근이완제의 부작용
          서론 261
          부작용 발생의 작용 기전 I; 4.4 Å 법칙, 5.9 Å 법칙 261
          부작용 발생의 작용 기전 II; 무스카린성수용체의 작용기전 262
          자율신경계 신경절 및 절후 부교감신경 수용체 부위의 무스카린성수용체에 의한 부작용 264
          1. 빈맥 264
          2. 기도평활근 수축 265
          3. 신경계 nAChR에 대한 작용 265
          히스타민 유리와 관련된 부작용 266
          아나필락시스 작용과 관련된 부작용 267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예방 267
          그 외 부작용(대사산물 관련) 268
          잔류근이완(Residual neuromuscular block) 269
          1. 배경 269
          2. 역학 270
          3. 근이완제와 호흡 270
          4. 마취회복 후 잔류신경근차단 271
          5. 근이완재현(Recurarization) 271
          6. 중환자실에서의 잔류근이완 272
          7. 잔류신경근차단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 272
          8. 예방과 처치 272
          기타 술 후 합병증 273
          결론 274
          ■ 참고문헌 275


          제11장 상지격리신경근연구법
          서론 281
          실험 방법의 목적 281
          작용 기전 282
          약의 효과에 미치는 요소 283
          1. 구혈대에 의한 허혈 283
          2. 상지의 용적과 약물 농도 284
          3. 근이완제의 투여량 285
          수기 방법 285
          1. 상완격리법(isolated arm technique) 285
          2. 전완격리법(isolated forearm technique) 286
          약역동학 287
          혈장농도의 재분포 289
          연구 결과의 평가 290
          연구 방법에 의한 근이완 작용 292
          요약 294
          ■ 참고문헌 294


          제12장 서로 다른 근육에서 근이완제 사용
          서론 297
          후두 299
          1. 해부학 및 생리학 299
          2. 신경분포 299
          3. 후두신경근차단의 임상적 의미 299
          4. 되돌이후두신경 자극 299
          5. 후두내전근의 신경근차단 감시 299
          6. 후두와 엄지모음근의 신경근차단의 차이 300
          횡격막 300
          1. 해부학 및 생리학 300
          2. 횡격막신경의 자극 300
          3. 횡격막신경근차단의 감시 301
          4. 횡격막과 엄지모음근 간의 신경근차단의 차이 301
          5. 횡격막과 엄지모음근 간의 약동학적 차이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근거 301
          6. 횡격막신경근차단의 중요성 302
          눈썹주름근(추미근, corrugator supercilii muscle) 303
          1. 해부학 및 생리학 303
          2. 얼굴신경의 자극 304
          3. 눈썹주름근의 신경근차단 감시 304
          4. 눈썹주름근과 다른 근육 간의 신경근차단에 대
          한 비교 304
          5. 눈썹주름근의 신경근감시에 대한 중요도 304
          6. 삽관의 가장 적절한 환경을 평가하는데 어느 근
          육을 사용해야 하는가? 304
          미래 305
          1. 후두신경근차단의 판정방법 305
          2. 횡격막신경근차단의 판정방법 305
          3. 눈썹주름근의 역할 305
          4. 감시 방법의 현재 305
          5. 임상의를 위한 권고 306
          결론 306
          ■ 참고문헌 307


          제13장 나이와 근이완제
          A. 소아마취에서의 근이완제 309
          신경근기능의 발달 생리 309
          1. 약리적 발달 309
          2. 신경근계의 발달 310
          신경근차단제 312
          1. 석시닐콜린 312
          2. NDMR 315
          근이완제의 길항제 320
          1. 항콜린에스터라제 321
          2. 슈가마덱스 322
          B. 노인 환자에서의 근이완제 사용 323
          서론 323
          1. 노화 생리 323
          2. 노인에서 근이완제의 사용 328
          3. 항콜린에스터라제 335
          4. 중환자 335
          결론 336
          ■ 참고문헌 336


          제14장 산과마취에서의 근이완제
          서론 347
          1. 탈분극성근이완제 347
          2. 비탈분극성근이완제 350
          요약 357
          ■ 참고문헌 359


          제15장 악성고열증과 근이완제
          서론 363
          역사 363
          역학 364
          병태생리 364
          임상증상 및 진단 366
          감별진단 366
          악성고열증과 연관된 증후군 369
          1. 저작근긴장증 369
          2. 중심핵병(Central core disease)과 기타 근육병증(Myopathies) 369
          악성고열증 감수성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 370
          1. 근육생검 구축검사(in vitro contracture test, IVCT) 370
          2. 유전자 검사 370
          악성고열증의 치료 371
          악성고열증 감수성 여부의 평가 및 마취관리 372
          ■ 참고문헌 373


          제16장 중환자실에서의 근이완제 사용
          서론 377
          중환자의 특성 377
          1. 신경근접합부의 변화와 탈분극성근이완제 377
          2. 비탈분극성근이완제와 그 대사산물의 약동학적
          측면 378
          중환자에서 근이완제 사용의 적응증과 사용 방안 382
          1. 근이완제 투여 적응증 382
          2. 근이완제 투여로 인한 단점과 합병증 383
          3. 예방책 384
          요약 386
          ■ 참고문헌 387


          제17장 신경근 질환과 근이완제
          서론 391
          근이완제 반응의 평가 392
          두개강내 병소 392
          1. 편측마비(반신불수, Hemiplegia) 392
          2.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393
          3. 헌팅턴 무도병(Huntington’s Chorea) 393
          4.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393
          5. 뇌성마비(Cerebral Palsy) 394
          6. 미만성 두개강내 병변(Diffuse Intracranial Lesions) 394
          척수병소 394
          1. 하반신마비 394
          2.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395
          3. 소아마비(폴리오, Poliomyelitis) 395
          4. 척수공동증(Syringomyelia) 395
          말초신경병변 396
          1. 말초신경병변 396
          2.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396
          3. 특발성다발신경염(Idiopathic Polyneuritis, Guillain-Barre Syndrome, GBS) 396
          4. 근육의 탈신경화 396
          신경근접합부 병소 397
          1.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397
          2. Eaton-Lambert Myasthenic Syndrome(ELMS) 398
          근육병소 399
          1. 근긴장증(Myotonia) 399
          2. 고칼륨혈성 주기적마비(Hyper kalemic Periodic Paralysis) 400
          3.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ies) 400
          기타 전신적 및 미분류 병소 400
          1. 중환자 다발신경병증(Critical Illness Polyneuropathy, CIP) 400
          2. 파상풍(Tetanus) 401
          3. 후천성면역결핍증 401
          4. 화상 401
          5. 부동화(Immobilization) 402
          ■ 참고문헌 402


          |부록| 약어 설명 407
          |찾아보기| 410
          |Index| 416



          상품후기상품상세정보 / 관련상품목록 / 상품구매후기 / 상품Q&A




          상품문의상품상세정보 / 관련상품목록 / 상품구매후기 / 상품Q&A




          배송교환반품정보




          회원님의 소중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비밀번호
          신규 비밀번호
          신규 비밀번호 확인
          6~20자, 영문 대소문자 또는 숫자 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