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의해부학회에서는 용어의 한글화와 표준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습니다. 많은 선배 교수님의 수고로 1993년 ‘가축해부학용어’가 출간되었고, 그 후 사람해부학용어의 눈부신 변천이 있어서 그 변천에 맞추어 새로운 수의해부학용어 제정이 필요하게 되어 수의해부학용어를 제정함에 있어 학문의 국제적 연관성을 존중하여 국제수의해부학용어위원회(ICVAN)와 국제수의발생학용어위원회(ICVEN) 에서 제정한 용어를 기본으로 하고 한글용어와 영어용어를 덧붙였습니다. 또한 학문의 통일성을 위해 대한해부학회 용어위원회에서 제정한 ‘사람해부학용어’를 참고하여 그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별도로 동물에만 있는 구조에 대한 용어를 추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습니다. 그 이후에도 계속 사람해부학용어의 변화가 진행되었고 수의해부학용어와의 통일성을 위한 소통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수의해부학용어위원회 위원장인 김대중 교수가 대한해부학회 용어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여 통로역할을 하면서 용어의 통일화와 단순화를 위한 많은 수고를 하였습니다. 한편, 수의해부학용어위원회 위원들께서도 많은 노력을 하여 ‘우리말 수의해부학용어’의 출간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특히 용어위원회 위원장인 김대중 교수의 피땀 어린 수고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김 교수의 헌신이 없었다면 이 책의 출간도 어려웠을 것입니다. 또한 함께 수고하여준 용어위원회 위원들과 그 외에 모든 분들께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앞으로 이 ‘우리말 수의해부학용어’가 수의학분야 뿐만 아니라, 유사학문분야에서도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다시 한 번 이 일에 수고한 모든 분들께 감사와 존경을 보내드립니다.
2013년 2월
한국수의해부학회 회장 윤 여 성
목차차례
발간사 • v
머리말 • vii
일러두기 • xi
제정원칙 • xiv
PART 1 수의해부학용어
일반해부학 • 3
계통해부학 • 25
골학 • 26
관절학 • 54
근육학 • 65
내장학 • 82
맥관학 • 117
신경계통 • 194
감각기관 • 235
외피 • 248
PART 2 수의조직학용어
세포학 • 257
수의조직학 총론 • 273
수의조직학 각론 • 297
PART 3 수의발생학용어
포유동물생식 • 381
기관발생 • 397
기형학 • 437
PART 4 수의해부학용어 주석편
수의해부학용어 • 465
수의조직학용어 • 492
수의발생학용어 • 500
PART 5 부록 • 503
PART 6 찾아보기
우리말 찾아보기 • 557
영어 찾아보기 • 68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