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고혈압은 국민의 25%이상을 차지하는 흔한 질환이며 효과적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심장병, 뇌혈관장애와 신장병 등의 장기장애를 합병합니다. 우리나라 국민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은 뇌혈관질환이며 고혈압은 이 중 가장 위험한 요소의 하나입니다.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강압요법이 효과적으로 행해져야 하는데도 아직 우리나라의 실정은 여의치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인지도와 치료율은 최근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정상혈압으로의 조절율은 아직 매우 낮습니다.
고혈압은 의사들의 관심이 매우 높은 질환이지만 강압제의 종류가 많고 환자 개개인의 병태와 동반질환 및 합병증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강압제의 선택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대한고혈압학회에서 전국적으로 개원의 연수강좌를 실시할 때나 수련의들과 토론할 때 느낀 것은 치료에 도움이 될 상세한 치료지침서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복잡한 이론을 배제하고 일상진료에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진단과 치료를 위한 실제적, 임상적 접근을 위한 책자를 만들려고 노력하였습니다. 그리고 최근의 미국, 세계보건기구, 유럽 고혈압학회, 영국 고혈압학회의 진료지침은 물론 일본을 비롯한 외국의 서적과 논문에서 가능하면 필요한 자료를 발췌하여 수록하려고 하였습니다.
내용 중에 모든 강압제를 예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약제의 용량도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고 또 지침서에 따라 이론과 약간의 논란이 있을 수 있음도 고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족한 점은 계속 보완해 나갈 것입니다.
본 매뉴얼이 순환기를 포함한 모든 내과 전문의, 가정의, 개원의, 그리고 수련의와 고혈압관리에 종사하고 있는 모든 이의 임상 진료에 편리하고 유익한 지침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목차제1부 고혈압의 진단 9
제1장. 고혈압의 정의와 분류 11
1. 미국의 보고서 11
2. 유럽의 보고서 11
제2장 혈압의 측정 15
1. 외래혈압의 측정 15
2. 가정 혈압(자가 혈압)의 측정 16
3. 24시간 활동혈압의 측정 17
1) 야간 고혈압 19
2) 조조 고혈압 19
3) 백의 고혈압 20
제3장 위험인자 및 중증도 분류 21
제4장 고혈압의 원인 25
제5장 고혈압의 증상 및 신체 소견 27
1. 고혈압의 증상 27
1) 장기 손상에 의한 증상 27
2) 2차성 고혈압에 의한 증상 28
2. 신체 소견 29
제6장 고혈압의 검사 31
1. 기본검사 31
1) 혈액 및 요 검사 31
2) 흉부 X선 32
3) 심전도 32
2. 추가검사 33
1) 혈액 및 소변 검사 33
2) 안저 검사 33
3) 심 초음파검사 33
4) 24시간 활동혈압 33
3. 특수검사 33
제2부 고혈압의 치료 35
제1장 치료의 기본 37
1. 치료의 목적 및 의의 37
2. 치료법의 선택 37
제2장 생활요법의 실제 39
1. 식염 제한 40
2. 체중감량 40
3. 절주 42
4. 운동 43
5. DASH(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식이 44
1) 칼륨 섭취 44
2) 칼슘 및 마그네슘 섭취 44
3) 지방 45
6. 금연 45
7. 스트레스 45
8. 기타 46
제3장 약물 요법 47
1. 약물요법의 기초 47
1) 약물치료의 개시 47
2) 초기 약제의 선택 47
3) 병태별 강압제의 선택 49
4) 약물요법의 원칙 51
5) 강압목표 52
6) 병용요법 54
7) 강압제의 감량과 휴약 58
8) 순응도 개선방법 59
9) 치료 저항성 고혈압 61
10) 약의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 63
2. 약물요법의 실제 64
A. 강압제의 종류와 사용법 64
1) 이뇨제 64
2) 베타 차단제 69
3) 알파1 차단제 76
4) 알파-베타 차단제 79
5) 칼슘 길항제 81
6)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억제제 88
7)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92
8) 직접 혈관확장제 95
9) 기타 강압제 97
B. 합병증이 없는 고혈압의 치료 100
1) 고령자 100
2) 고혈압 성 위기 106
3) 확장기 고혈압 110
4) 백의 고혈압, 조조 고혈압, 야간 저혈압 110
5) 여성과 고혈압 111
C. 다른 질환을 동반한 고혈압의 치료 118
1) 관상동맥질환 118
2) 울혈성 심부전증 122
3) 부정맥 126
4) 좌심실 비대 128
5) 판막질환 129
6) 당뇨병 130
7) 고지혈증 137
8) 비만과 고혈압 139
9) 신장 질환 142
10) 뇌혈관질환 148
11) 호흡기 질환 151
12) 간 질환 152
13) 교원성 질환 153
14) 수술과 고혈압 154
15) 말초 혈관질환 156
16) 정신질환 157
17) 통풍 157
18) 성 기능장애와 고혈압 158
19) 수면 무호흡과 고혈압 160
20) 치과 치료 160
21) 요로 폐쇄 160
22) 소아 및 청소년기 고혈압 161
D. 이차성 고혈압 162
1) 신성 고혈압 164
2) 내분비성 고혈압 167
3) 대동맥 질환 174
4) 약에 의한 고혈압 175
부록
시판 중인 강압제 179
찾아보기 1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