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총론
가슴 영상검사법과 적응증박석희, 이배영
1. 단순 가슴촬영 2
2. 전산화단층촬영 3
3. 자기공명영상 4
4. 방사선핵종영상 4
5. 초음파 영상 4
6. 혈관조영술 4
응급실 및 중환자실의 환자에게 가슴 영상검사를 시행하는 이유
1. 단순 가슴촬영을 시행하는 이유 6
2. 가슴 CT를 하는 이유 7
서서 촬영한 가슴 뒤앞사진(Chest PA)의 정상 소견
1. 가로막 8
2. 가슴 세로칸과 큰 혈관 9
3. 기관 9
4. 폐문 9
5. 폐혈관 10
6. 폐엽틈새 10
7. 가슴 세로칸의 경계음영 11
8. 뼈 12
9. 위 속의 가스 12
서서 촬영한 가슴 가쪽사진(Chest Lateral)의 정상 소견
1. 가로막 18
2. 심장 19
3. 기관 19
4. 폐문 19
가슴 CT의 정상 소견
1. 가슴 세로칸 조절 영상 21
2. 폐조절 영상 24
3. 고해상 영상 26
단순 가슴사진에서 볼 수 있는 기형과 거짓병변
1. 마름오목 27
2. 갈비뼈 기형 28
3. 석회화된 갈비연골 30
4. 젖꼭지 31
5. 피부주름 32
6. 인공 음영 33
가슴 CT에서 볼 수 있는 인공음영
1. 운동인공음영 36
2. 조영제에 의한 인공음영 37
3. 스캐너와 관련된 인공음영 38
단순 가슴사진 분석 방법 39
가슴 영상검사 판독 보고서 작성법 41
단순 가슴사진 판독시 주요 용어
1. 폐결절 44
2. 낭종성 및 공동성 병변 46
3. 광범위 또는 미만성 사이질 폐병 47
4. 꽈리 또는 폐포성 병변 50
5. 공기기관지조영상 51
6. 그림자 징후 52
7. 간유리 또는 젖빛유리 증가음영과 경화 55
8. 폐무늬, 기관지혈관무늬 또는 혈관무늬 57
고해상 CT 판독시 주요 용어
1. 가슴막밑선 59
2. 결절 60
3. 경계면 징후 62
4. 공기공간결절 63
5. 낭종 64
6. 도장반지징후 65
7. 모자이크 음영 또는 모자이크 관류 66
8. 벌집모양 67
9. 봉오리 나온 가지 징후 68
10. 소엽 사이막 비후 69
11. 간유리 또는 젖빛유리 증가음영 70
12. 마구 깬 돌 또는 고르지 못한 포장 모양 71
13. 폐경화 72
서서 촬영한 가슴 뒤앞사진과 누워서 촬영한 앞뒤사진의
차이점 및 감별점 73
환자의 가슴 속에 삽입한 튜브, 도관, 선, 유도선
1. 기관내관 76
2. 코위관 78
3. 기관창냄술 관 80
4. 중심 정맥 도관 81
5. 스완간즈 도관 83
6. 심장박동조율기의 유도선 85
7. 기타 각종 의료기구 및 장치 86
2부 각론
감염성 폐질환 김기준
1. 세균성 폐렴(Bacterial Pneumonia) 90
2. 흡인 폐렴(Aspiration Pneumonia) 97
3. 괴사성 폐렴(Necrotizing Pneumonia)과 폐농양(Lung Abscess) 100
4. 농흉(Empyema) 104
5. 바이러스 폐렴(Viral Pneumonia) 108
6. 결핵(Tuberculosis) 111
7. 폐혈 폐렴(Septic Emboli) 122
8. 진균 폐렴(Fungal Pneumonia) 125
9. 면역기능 저하 환자의 폐감염(Pulmonary Infection in an Immunocompromised Patient) 129
폐부종과 심장혈관 질환 정정임
1. 심장탓 폐부종(심인성 폐부종, Cardiogenic Pulmonary Edema) 136
2. 비 심장탓 폐부종(비 심인성 폐부종, Non-cardiogenic Pulmonary Edema) 142
3.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 146
4. 대동맥류(Aortic Aneurysm) 153
5.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159
6. 심장막 삼출액(Pericardial Effusion) 163
7. 폐 혈전색전증(Pulmonary thromboembolism) 165
기도 질환 안명임
1. 폐기종(Pulmonary Emphysema) 173
2.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179
3. 기관지 천식(Bronchial Asthma) 183
4.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187
5. 무기폐(Atelectasis) 192
폐종양 송선화
1. 상대정맥 증후군 (Superior Vena Cava Syndrome) 206
2. 종양에 의한 척수 압박증 (Spnial Cord Compression Syndrome) 210
3. 혈행성 및 림프행성 전이 (Hematogenous and Lymphangitic Metastasis) 214
4. 종양성 가슴막 질환 (Tumorous Condition of the Pleura) 222
5. 기관지 및 기관 폐쇄 (Bronchus or Trachea Obstruction) 229
가슴막, 세로칸 및 가슴벽 질환 안명임
1. 자연적(자발적) 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234
2. 자연 세로칸 기종 및 피부밑 기종(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 Subcutaneous Emphysema) 242
3. 대량의 가슴막 삼출액(흉수, Massive Pleural Effusion) 246
가슴 외상 정명희, 박현진
1. 가슴벽 외상(Chest Wall Trauma) 250
갈비뼈 골절(Rib Fracture) 250
복장뼈(흉골) 및 빗장뼈(쇄골) 골절(Sternum & Clavicle Fractures) 255
척추 골절(Spine Fracture) 258
2. 가슴막공간(흉막강) 외상(Pleural Injury) 260
공기가슴증(기흉, Pneumothorax) 260
혈액가슴증(혈흉, Hemothorax) 263
3. 허파 외상(Lung Injury) 265
허파 둔상(Lung Contusion) 265
허파 열상, 외상성 공기낭종 및 혈종(Laceration, Pneumatocele, & Hematoma) 266
4. 외상성 가로막 파열(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269
5. 기관기관지 파열(Tracheobronchial Tear) 272
6. 외상성 식도 파열(Posttraumatic Esophageal Rupture) 275
7. 대동맥 손상(Traumatic Aortic Injury) 278
기타 질환 김효림
1. 급성 호산구성 폐렴(Acute Eosinophilic Pneumonia) 282
2. 과민성 폐렴(Hypersensitivity Pneumonitis) 285
3. 폐출혈(Pulmonary Hemorrhage) 288
4. 허파꽈리단백증(폐포단백증, Pulmonary Alveolar Proteniosis; PAP) 291
5. 급성 사이질 폐렴(급성 간질성 폐렴,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AIP) 294
6. 사이질 폐렴의 급성악화(Acute Exacerbation of Interstitial Pneumonia) 297
7. 방사선 폐손상(Radiation Lung Injury) 300
8. 파라콰트 중독(Paraquat Poisoning) 304
9. 익사직전 폐(Near Drowning) 307
10. 흡입 손상(Inhalation Injury) 309
응급흉부질환의 인터벤션 천호종
1. 객혈과 기관지동맥 색전술(Hemoptysis & Bronchial A. Embolization) 313
2. 흉부동맥손상과 동맥 색전술(Arterial Injury & Embolization) 318
3. 폐동맥 색전증과 카테터를 통한 혈전용해술(Pulmonary A. Thromboembolism & 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320
4. 상대정맥증후군과 경피적 스텐트 삽입술(SVC Syndrome & Percutaneous Stent Insertion) 325
5. 응급 대동맥 질환과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Aortic Diseases & Stent-Graft Insertion) 329
6. 폐농양과 경피적 배액술(Lung Abscess & Percutaneous Drainage) 334
7. 흉수 및 농흉과 경피적 배액술(Pleural Effusion, Empyema, & Percutaneous Drainage) 338